티스토리 뷰
허브/스위치, 라우터
컴퓨터 네트워크 이론 자체가 일반 사용자에게는 결코 쉽지 않은 것이다 보니, 이 이론에 기초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비(기기, 부품)에 관해서는 더욱 어렵게 여기게 된다. 물론 전문용 고급 네트워크 장비는 다분히 그러하지만,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소형 장비는 조금만 관심을 갖고 다뤄보면 ‘컴맹’이나 ‘넷맹’이라도 능히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이번 4부 강의에서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언젠가 한 번쯤은 접하게 될 일반용 네트워크 기기 및 부품 등에 대해
알아본다. 각 장비의 상세한 사용방법까지는 다룰 수 없지만, 적어도 뭐 하는 데 쓰는 물건인지, 그리고 나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는
알 수 있을 것이다.
여러 컴퓨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분배기, 허브/스위치
컴퓨터나 모니터 등의 전원 케이블을 연결할 때 전기 콘센트가 부족한 경우 ‘멀티 탭’이라는 전기용품을 사용한다.
이는 하나의 전력원을 여러 기기로 분배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네트워크 장비 중 허브(hub)와 스위치(switch, 혹은 스위치 허브)도
이 멀티 탭과 같이 분배의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하나의 네트워크 라인에 여러 대의 컴퓨터에 랜 케이블을 꽂을 수 있도록 분배하는
장비다.
비슷하게 생긴 이 두 장비의 가장 큰 차이는 데이터 전송 대역이다. 허브는 단순한 분배 중계기에 불과하기 때문에, 연결되는 컴퓨터 수에
따라 데이터 전송 대역이 분리된다. 예를 들어, 원래 전송 대역이 10Mbps인 네트워크 라인에 허브를 물리고 여기에 5대의 컴퓨터를 연결
했다면 각 컴퓨터의 대역폭은 2Mbps가 된다. 한번에 한쪽 컴퓨터로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전체 10Mbps 대역폭을 각 컴퓨터에
동시에 적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번에 한 대의 차량만 이동할 수 있는 왕복 1차선 도로를 연상하면 이해가 쉽다.
반면에 스위치는 10Mbps 대역폭을 5대의 컴퓨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여러 대의 컴퓨터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허브보다는 상대적
으로 속도가 빠르다. 이는 왕복 다차선 도로에 비유할 수 있겠다. 1차선에 차가 달리고 있어도 다른 차선의 차량 이동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것처럼, A 컴퓨터에서 B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C 컴퓨터에서 D 컴퓨터로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장비 구성을 봐도 스위치는 허브보다 고급 부품들로 생산된다. 일반적으로 스위치에는 CPU(컴퓨터용은 아니지만)와 메모리가 들어 있지
만, 허브는 전기 멀티 탭과 같은 단순한 분배 장치에 불과하다. 아울러 스위치는 몇 가지의 네트워크 기능/서비스를 제공하기에 허브보다
는 활용도가 높다. 가격은 물론 스위치가 허브보다 비싸다. 허브는 구형 장비로 인식되어 최근에는 스위치만 주로 생산, 판매되고 있다.
허브와 스위치는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는 포트 수에 따라 4포트, 8포트, 16포트 등의 모델로 나뉘며, 포트 수가 많을수록 가격이 비싸다.
가정에서는 그다지 사용할 일이 없을 것이고(대부분 공유기를 사용할 테니), 컴퓨터 수가 많은 학교나 회사, PC방 등에 주로 사용된다.
서로 다른 지역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라우터
허브와 스위치가 한 공간에 배치된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비라면, 라우터(router)는 다른 장소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비라 할 수 있다.
데이터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이동하는 것을 라우트(route)라 하고, 그렇게 될 수 있도록 최적의 경로를 찾아 주는 역할을
라우터가 담당한다. 배치되는 위치로 보면, 제일 하단에 컴퓨터가 그 바로 위에 허브나 스위치가, 또 그 위에 라우터가 존재한다.
라우터는 일반적으로 라우터끼리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경부 고속도로의 서울 톨게이트와 부산 톨게이트를 각 지역의 라우터로
이해하면 된다. 이 때문에 라우터를 ‘게이트웨이(gateway)’라고도 한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라우터는 최적의 경로를 찾아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스위치보다 고급 부품으로 생산되며,
그에 따라 가격도 상당히 비싸다. 그리고 제대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고급 지식이 필요하다.
라우터는 기업용 전산 시스템 환경에 주로 적용되지만,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유무선 공유기도 라우터의 일종이다.
집/사무실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시켜 주기 때문이다. 사실 인터넷 공유기는 스위치와 라우터, 그리고 아래에서 알아볼 방화벽 등의
기능이 농축된 네트워크 토털 패키지 장비인 셈이다.
LAN과 WAN
'랜(LAN, Local Area Network)'이라는 용어는 그래도 귀에 익숙하지만, ‘왠(WAN, Wide Area Network)’은 낯설기만 하다.
랜은 작은 영역의 네트워크 연결을, 왠은 중대형 영역의 네트워크 연결을 의미한다. 즉 연결 영역의 크기에 따른 구분이다.
예를 들면, 집안이나 사무실 내의 네트워크 연결은 ‘랜’, 지역 간/국가 간 네트워크 연결은 ‘왠’이라 할 수 있다.
그에 따른 장비도 다른데, 랜 영역에는 허브나 스위치가, 왠 영역에는 라우터가 주로 사용된다.
글 / IT동아 이문규 (munch@itdonga.com)
'■ 개발관련 ■ > IT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wer Mockup - Power Point UI/UX Planning tool (0) | 2020.09.24 |
---|---|
sandbox (0) | 2014.04.15 |
방화벽 (0) | 2013.10.13 |
랜카드, 랜케이블 (0) | 2013.10.13 |
POP / SMTP (0) | 2013.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