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설치시 파티션별 용도에 대해 알아보자. 드라브안에다가 리눅스를 사용하기위한 각각의 파티션을 잡는 것인데, 윈도우로 치면 폴더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파티션별 용도중 필수 파티션이 있으므로 유의해야한다. /swap : 메모리 설정 시스템 메모리가 부족할경우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의 내용을 임시로 저장하여 다른 프로그램등을 실행하는데 사용하는 기술이다. 보통 물리적 메모리의 두배가량을 계산하여 잡아준다 하지만 꼭 2배 이상 설정할 필요는없다. 권장사항일뿐. ex) 512MB -> 1024 / 1024 -> 2048 / : 루트디렉토리 최상위개념 필수로존재해야하며 시스템의 시작점. 윈도우의 C드라이브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리눅스/유닉스는 드라이브명과 같은 개념대신 루트디렉토리를 기준으로 모든 파..
파티션의 종류는 기본 파티션 Primary와 확장 파티션 Extended가 있다. 기본파티션은 물리적인 하나의 디스크에 최대 4개까지 기본 파티션으로 분할이 가능하다. 확장 파티션은 하나의 물리 디스크상에 파티션이 5개 이상 필요한 경우(기본 파티션이 4개를 초과하므로) 활용하면 된다. 확장파티션은 디스크 하나에 1개만 설정 가능하며, 확장 파티션내의 논리파티션 갯수는 제한이 없다. 보통기본파티션 + 확장파티션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형태가 가장 추천할 만한 방법이다. 파티션의 분할로 인해 얻는 장점들은 크게 파티션 고유의 공간 용량확보, 하드웨어 오류의 피해 최소화, 파티션별 OS분할 정도로 생각해 볼 수있다.
이전 포스팅에서 적었던 리눅스에 대해 정독했다면 쉽게 이해가 가겠지만.. 방대한 리눅스를 전문적으로 커스터마이징 하여 배포는 무료이고 기술 지원은 유료인 형식으로 운영하는 레드햇 사에서 만든 배포본 이다. 설립자 중 한명이 교내에서 빨간 모자를 쓰고 컴퓨터를 고치고 다니는 것으로 유명했던 것에서 유래. 높은 인지도로 대표적인 리눅스 배포본으로 이용되고있으며, 2003년 나온 버전9가 마지막 무료버전이다. 후속에는 유료화되어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RHEL)가 되었다. 개인용 무료버전은 페도라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레드햇 중 버전 7.3과 9가 많이 이용되었다. 커널과 라이브러리의 버전이 낮아서 요즘 프로그램들은 잘 안 돌며, 해킹에도 취약한 문제가 있지만, 가끔 옛날 프로그램이 특정..
리눅스 (Linux)는 컴퓨터 운영체제이며 구체적으로는 그 커널을 뜻하기도 한다. 1.자원관리 - 시스템 자원을 관리해서 운영체제의 다른 부분 및 응용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 2.보안 - 하드웨어와 프로세스의 보안. 3.추상화 - 같은 종류 장비에 대한 공통명어의 집합, 즉 하드웨어 추상화로 일관성있는 인터페이스를 하드웨어에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이 하드웨어 추상화는 프로그래머가 여러 장비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돕는다. 커널에대한 것은 대략 이렇게 이해하면 문제가없다. 더 자세한것은 검색.. 리눅스는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있는 가장 대표적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다. 현재 수백 종류의 리눅스 변종들이 있는데(당연하지) 생긴 모양이 어쨌든 커널이 리눅스면 전부 리눅스라고..
1. ps ( process ) - 현재 진행중인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합니다. 2. pstree ( process tree) - ps 에 의해 출력되는 프로세스 정보를 트리 형태로 나타냅니다. 3. top - cpu와 메모리를 사용하는 작업들에 대한 시스템 정보를 출력합니다. 4. arch (architecture) - 현재 사용하고 있는 cpu의 모델을 출력합니다. 5. cal (calendar) - 현재의 달을 출력합니다. (ex : 원하는 월 ,연도) * -j :율리우스달력 6. clock - CMOS 설정 시간의 출력, 변경을 합니다. 7. date - 현재 시간과 날짜를 출력합니다. 8. df (disk free) - 하드의 전체 용량, 남은 용량을 알기위해 사용합니다. * -h(human) ..
vi는 유닉스에서 널리 쓰이는 표준 텍스트 편집기입니다. vi는 20여년전에 개발 되었기 때문에 문서 편집 방법이 최근에 만들어진 편집기와는 많이 다르지만 익숙해지면 편리한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기능으로 지금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vi의 특징은 화면 편집기라는 것이데, 이는 vi가 개발되던 초기 유닉스 때의 상황에서 보면 획기적인 것이었습니다. 당시에 널리 사용되던 텍스트 편집기는 ed라는 행 단위 편집기인데 이는 문서의 행 하나를 보여주며 행 단위로 편집하기에는 너무나 불편한 편집기였습니다. 이후 vi는 발전을 거듭하여 여러 가지 변종이 나오게 되었는데 현재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하는 vi는 vim으로, Vi IMproved의 약자입니다. vi에 많은 기능을 추가하고 X 윈도우용 vi 인터테이스나 ..
파이프 "| "는 명령어에서 나온 결과값을 바로 다음 명령어의 인수로 전달할 수 있다. 가령 ls 명령어로 /usr/bin 디렉토리의 내용을 출력할 경우 한꺼번에 많은 내용이 출력되어 알아보기 어려울경우 파이프를 이용하여 페이지 단위로 출력이 가능하다. [root@office /root]# ls /usr/bin | more ls의 결과로 출력되는 값을 more 명령어로 전달하여 페이지 단위로 출력하도록 만드는 데 파이프를 이용한다.
출처 : http://dinggur.tistory.com/76 급하신 분은 보라색 글씨만 보시면 됩니다. [# ] 표시 = root 계정으로 명령어 입력 / [$ ] 표시 = 사용자계정 (ex. oracle) 으로 명령어 입력 [:: ] 표시 = vi에디터 등에서 표시 이후의 내용을 타이핑하라는 의미입니다. 리눅스 네트워크 관련 설정파일 1)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 아이피,서브넷 마스크,(게이트웨이) 2) /etc/sysconfig/network → 컴퓨터이름,(게이트웨이) 3) /etc/resolv.conf → DNS 정보 4) /etc/hosts → 네임서버 파일 각각의 설정 파일의 내용을 편집하면 된다. # vi /etc/sysconfig/ne..
ln명령어는 조금 복잡한 파일명이나 경로명을 단순화시켜서 언제든지 쉽게 이용하거나 이동할 때 사용하기 위해 주로 이용한다. 윈도우즈의 단축 아이콘과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실제 더 포괄적인 개념이며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링크에는 하드링크(hard link)와 심볼릭링크(symbolic link)가 있다. ln명령어를 옵션없이 실행하면 생성된 파일은 하드 링크이다. 일반적으로 심볼릭 링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심볼릭링크 : 윈도우즈 단축 아이콘과 흡사. 생성된 심볼릭링크는 원본파일을 다른곳으로 이동시키면 해당 심볼릭 링크가 깨져서 사용할 수 없다. 현재 존재하는 /home 디렉토리를 hhh라는 심볼릭링크로 생성할 경우 cd hhh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home과 똑같은 디렉토리 기능을 하게된다...
php 나 mysql 을 설치를 할 때.. ./configure --prefix=설치할path ex)./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 --prefix=/usr 로 하면 etc 에 설정파일이 /usr/bin 에 실행파일이 /usr/lib 에 라이브러리 파일이 /usr/share/doc 에 문서 파일이 /usr/share/패키지/ 에 패키지에 관련한 간단한 README, CHANGELOG /usr/share 아래에 기타 등등 그림 등과 같은 자료가 들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