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는 유닉스에서 널리 쓰이는 표준 텍스트 편집기입니다. vi는 20여년전에 개발 되었기 때문에 문서 편집 방법이 최근에 만들어진 편집기와는 많이 다르지만 익숙해지면 편리한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기능으로 지금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vi의 특징은 화면 편집기라는 것이데, 이는 vi가 개발되던 초기 유닉스 때의 상황에서 보면 획기적인 것이었습니다. 당시에 널리 사용되던 텍스트 편집기는 ed라는 행 단위 편집기인데 이는 문서의 행 하나를 보여주며 행 단위로 편집하기에는 너무나 불편한 편집기였습니다. 이후 vi는 발전을 거듭하여 여러 가지 변종이 나오게 되었는데 현재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하는 vi는 vim으로, Vi IMproved의 약자입니다. vi에 많은 기능을 추가하고 X 윈도우용 vi 인터테이스나 ..
파이프 "| "는 명령어에서 나온 결과값을 바로 다음 명령어의 인수로 전달할 수 있다. 가령 ls 명령어로 /usr/bin 디렉토리의 내용을 출력할 경우 한꺼번에 많은 내용이 출력되어 알아보기 어려울경우 파이프를 이용하여 페이지 단위로 출력이 가능하다. [root@office /root]# ls /usr/bin | more ls의 결과로 출력되는 값을 more 명령어로 전달하여 페이지 단위로 출력하도록 만드는 데 파이프를 이용한다.
출처 : http://dinggur.tistory.com/76 급하신 분은 보라색 글씨만 보시면 됩니다. [# ] 표시 = root 계정으로 명령어 입력 / [$ ] 표시 = 사용자계정 (ex. oracle) 으로 명령어 입력 [:: ] 표시 = vi에디터 등에서 표시 이후의 내용을 타이핑하라는 의미입니다. 리눅스 네트워크 관련 설정파일 1)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 아이피,서브넷 마스크,(게이트웨이) 2) /etc/sysconfig/network → 컴퓨터이름,(게이트웨이) 3) /etc/resolv.conf → DNS 정보 4) /etc/hosts → 네임서버 파일 각각의 설정 파일의 내용을 편집하면 된다. # vi /etc/sysconfig/ne..
ln명령어는 조금 복잡한 파일명이나 경로명을 단순화시켜서 언제든지 쉽게 이용하거나 이동할 때 사용하기 위해 주로 이용한다. 윈도우즈의 단축 아이콘과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실제 더 포괄적인 개념이며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링크에는 하드링크(hard link)와 심볼릭링크(symbolic link)가 있다. ln명령어를 옵션없이 실행하면 생성된 파일은 하드 링크이다. 일반적으로 심볼릭 링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심볼릭링크 : 윈도우즈 단축 아이콘과 흡사. 생성된 심볼릭링크는 원본파일을 다른곳으로 이동시키면 해당 심볼릭 링크가 깨져서 사용할 수 없다. 현재 존재하는 /home 디렉토리를 hhh라는 심볼릭링크로 생성할 경우 cd hhh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home과 똑같은 디렉토리 기능을 하게된다...
php 나 mysql 을 설치를 할 때.. ./configure --prefix=설치할path ex)./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 --prefix=/usr 로 하면 etc 에 설정파일이 /usr/bin 에 실행파일이 /usr/lib 에 라이브러리 파일이 /usr/share/doc 에 문서 파일이 /usr/share/패키지/ 에 패키지에 관련한 간단한 README, CHANGELOG /usr/share 아래에 기타 등등 그림 등과 같은 자료가 들어갑니다.
cat명령어는 텍스트 작성된 파일 내용을 화면에 출력할 때 사용한다. 만약 파일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출력할때는 more를 사용한다. [root@localhost] cat ora.txt # oracle start su orcale lsnrctl start lsnrctl services svrmgrl connect internal # oracle stop su oracle svrmgrl connect internl shutdown immediate lsnrctl stop
grep 이란, 파일들 속의 문자열을 찾는 프로그램(또는 명령어)입니다. 유닉스용으로 개발되었는데, 지금은 Cygwin(시그윈)을 설치하면 윈도우의 도스창(명령 프롬프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grep 의 주요한 옵션과 사용법 예제 grep [옵션] [찾기 대상이 될 파일명] 이런 식으로 옵션과 문자열을 지정합니다. (주의! 옵션은 대소문자를 엄격히 구분합니다.) 가령 grep 맹구 * 라고 하면, 현재 디렉토리(폴더)의 모든 파일들 중에서, "맹구"라는 문자열이 들어 있는 파일을 찾아서 그 문자열이 들어 있는 행을 화면에 출력합니다. grep -n 맹구 * 이렇게 하면 그 행의 행번호까지 출력 grep -n 맹구 *.txt .txt 라는 확장자를 가진 파일만을 대상으로 찾기 grep -v 맹구 *..
grep 명령은 파일 내에서 지정한 패턴이나 문자열을 찾은 후에, 그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 모든 행을 표준 출력해 준다. 물론, 한 디렉토리 내에서 지정한 패턴을 포함하는 파일을 출력할 수도 있다. grep 명령은 하나 이상의 파일로부터 프로그램 수정 등을 위해 변수, 또는 함수명을 찾을때 많이 사용된다. grep 명령의 기본 문법 grep [-옵션] 패턴 파일명 옵션 -c : 패턴이 일치하는 행의 수를 출력 -i : 비교시 대소문자를 구별 안함 -v : 지정한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행만 출력 -n : 행의 번호를 함께 출력 -l : 패턴이 포함된 파일의 이름을 출력 -w : 패턴이 전체 단어와 일치하는 행만 출력 사용 예 $ grep -n '삼성' token_dic = token_dic 이라는 파일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