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이 쓰는 버전 : 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release 5.7 (tikanga) 이상하게도 레드햇에서 yum을 실행하면 작동을 하지않는다. 지원을 받으려면 유료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비슷한 계열 linux인 cenOS를 이용해서 저장소 url을 변경하여 yum을 사용하고 호스팅을 동작해보자. 마지막으로 성공한 날짜 2013.09.13 1. RHEL yum 업데이트 #cd /etc/yum.repos.d #mv rhel-debuginfo.repo rhel-debuginfo.repo.bak #vi rhel-debuginfo.repo [base] name=CentOS-$releasever - Base baseurl=http://mirror.centos.o..
리눅스는 클라이언트 / 서버 환경으로 사용되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호스트에서 리눅스 서버로 로그인하여 시스템을 사용하고 관리할수있다. 원격접속에 사용되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은 telnet, rlogin, ssh, telnet-ssl 등 이 있다. 이중에서 telnet과 rlogin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암호화된 문장이 아니라 일반 텍스트로 전송하므로 크래커가 해당 패킷을 가로챌 경우 암호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openssl을 이용하는 openssh와 telnet-ssl등 패킷암호화 전송 방법을 권장한다. openssh를 사용하려면 서버 측면 에서도 openssh를 구동하여야 한다. 또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실행되므로 클라이언트에서도 openssl이 함께 설치되어있어야 한다. 내가 약 3일간 ..
설치가 잘못되면 X-Window로 진입하지 못하고 명령어 프롬프트에서 grub> 이렇게 뜰경우가 있다. 원인을 알아내어 바로잡기보다는, 안정성과 범용성을 고려할 때 설치에 성공한 구성들을 적어놓음. HDD : 150GB 파티션 - 기본 / : 10기가 (옵션에 첫번째 파티션 체크) SWAP : 4094MB (메모리의2배, 옵션에 첫번째 파티션 체크) /boot : 512MB 파티션 - 확장 /tmp :512메가 /usr : 20기가 /var : 10기가 /home : 나머지용량 전체 이후 Next를 눌렀을때 나오는 "부트로더" 를 반드시 설치 재부팅후 방화벽및 날짜 등을 설정한뒤 정상적으로 X-Window에 진입.
본인이 쓰는 버전 : 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release 5.7 (tikanga) 공식가이드(한글) PDF 문서 첨부 : ※ 가상머신 만드는 방법은 리눅스 버전 고르는 부분만 달라서 생략하겠습니다.(빈가상머신 만들기 참조) 1. cd 혹은 iso파일을 넣고 가상머신을 구동시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엔터를 쳐서 넘어가면 됩니다. 2. 미디어 오류 검사. 스킵으로 넘어가 주세요!. 3. NEXT를 눌러줍니다. 4. 설치중에 나올 언어를 선택합니다. 5. 키보드를 선택해줍니다. 6. 드라이브를 초기화 시켜줍니다. 7. create custom layout을 선택하시면 원하시는 방법으로 파티셔닝을 할 수 있습니다. 8. 파티셔은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 할 수 있습니..
레드햇 리눅스 7.2 버전 이상부터는 기존 ext2 파일시스템에 저널링 기능을 추가한 ext3 파일시스템을 기본파일시스템으로 사용한다. 파일스템이란 무엇이며, 가지고 있는 특징과 장단점 그리고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1. 파일시스템이란 파일의 실제 데이터와 메타데이터(파일위치,크기,소유자,허가권등 ls -al로 볼 수 있는 파일 정보)를 유지/저장하는 체계로서 일반적으로 운영체제별 고유한 파일시스템을 가지고있다. 이러한 이유로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fdisk와 같은 명령어로 파티션의 크기 및 사용할 파일시스템을 지정하여 지정한 파일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특정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부트 로더를 통해 선택적으로 부팅하게 함으로써 멀티 운영체제가 구현 가능하다. 리눅스의 표준 파일시스템으로 사용되었던 ext2(mi..
Linux설치시 파티션별 용도에 대해 알아보자. 드라브안에다가 리눅스를 사용하기위한 각각의 파티션을 잡는 것인데, 윈도우로 치면 폴더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파티션별 용도중 필수 파티션이 있으므로 유의해야한다. /swap : 메모리 설정 시스템 메모리가 부족할경우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의 내용을 임시로 저장하여 다른 프로그램등을 실행하는데 사용하는 기술이다. 보통 물리적 메모리의 두배가량을 계산하여 잡아준다 하지만 꼭 2배 이상 설정할 필요는없다. 권장사항일뿐. ex) 512MB -> 1024 / 1024 -> 2048 / : 루트디렉토리 최상위개념 필수로존재해야하며 시스템의 시작점. 윈도우의 C드라이브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리눅스/유닉스는 드라이브명과 같은 개념대신 루트디렉토리를 기준으로 모든 파..
파티션의 종류는 기본 파티션 Primary와 확장 파티션 Extended가 있다. 기본파티션은 물리적인 하나의 디스크에 최대 4개까지 기본 파티션으로 분할이 가능하다. 확장 파티션은 하나의 물리 디스크상에 파티션이 5개 이상 필요한 경우(기본 파티션이 4개를 초과하므로) 활용하면 된다. 확장파티션은 디스크 하나에 1개만 설정 가능하며, 확장 파티션내의 논리파티션 갯수는 제한이 없다. 보통기본파티션 + 확장파티션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형태가 가장 추천할 만한 방법이다. 파티션의 분할로 인해 얻는 장점들은 크게 파티션 고유의 공간 용량확보, 하드웨어 오류의 피해 최소화, 파티션별 OS분할 정도로 생각해 볼 수있다.
이전 포스팅에서 적었던 리눅스에 대해 정독했다면 쉽게 이해가 가겠지만.. 방대한 리눅스를 전문적으로 커스터마이징 하여 배포는 무료이고 기술 지원은 유료인 형식으로 운영하는 레드햇 사에서 만든 배포본 이다. 설립자 중 한명이 교내에서 빨간 모자를 쓰고 컴퓨터를 고치고 다니는 것으로 유명했던 것에서 유래. 높은 인지도로 대표적인 리눅스 배포본으로 이용되고있으며, 2003년 나온 버전9가 마지막 무료버전이다. 후속에는 유료화되어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RHEL)가 되었다. 개인용 무료버전은 페도라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레드햇 중 버전 7.3과 9가 많이 이용되었다. 커널과 라이브러리의 버전이 낮아서 요즘 프로그램들은 잘 안 돌며, 해킹에도 취약한 문제가 있지만, 가끔 옛날 프로그램이 특정..
리눅스 (Linux)는 컴퓨터 운영체제이며 구체적으로는 그 커널을 뜻하기도 한다. 1.자원관리 - 시스템 자원을 관리해서 운영체제의 다른 부분 및 응용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 2.보안 - 하드웨어와 프로세스의 보안. 3.추상화 - 같은 종류 장비에 대한 공통명어의 집합, 즉 하드웨어 추상화로 일관성있는 인터페이스를 하드웨어에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이 하드웨어 추상화는 프로그래머가 여러 장비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돕는다. 커널에대한 것은 대략 이렇게 이해하면 문제가없다. 더 자세한것은 검색.. 리눅스는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있는 가장 대표적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다. 현재 수백 종류의 리눅스 변종들이 있는데(당연하지) 생긴 모양이 어쨌든 커널이 리눅스면 전부 리눅스라고..
1. ps ( process ) - 현재 진행중인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합니다. 2. pstree ( process tree) - ps 에 의해 출력되는 프로세스 정보를 트리 형태로 나타냅니다. 3. top - cpu와 메모리를 사용하는 작업들에 대한 시스템 정보를 출력합니다. 4. arch (architecture) - 현재 사용하고 있는 cpu의 모델을 출력합니다. 5. cal (calendar) - 현재의 달을 출력합니다. (ex : 원하는 월 ,연도) * -j :율리우스달력 6. clock - CMOS 설정 시간의 출력, 변경을 합니다. 7. date - 현재 시간과 날짜를 출력합니다. 8. df (disk free) - 하드의 전체 용량, 남은 용량을 알기위해 사용합니다. * -h(human) ..